목록분류 전체보기 (364)
nokcha
일부 SNS와 커뮤니티에서 “언론이 문 대통령의 G7 정상회의 초청에 대해 의도적으로 침묵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안의 중요성에 비해 언론보도의 양이 터무니없이 적다는 것이다. 이어 “이명박 정권 시절이었던 지난 2010년, 서울에서 열린 G20 회의 당시에 언론의 적극적 행태와 비교된다”며, 이른바 언론의 ‘선택적 보도’를 비난했다. 문 대통령의 이번 G7 정상회담 참가를 바라보는 언론의 태도가 ‘2010년 G20’과 정말로 차이가 있는지, 있다면 어떻게 다른지 이 팩트체크 했다. http://www.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11960
문재인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총리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때 약식회담을 갖기로 양국이 합의했지만 일본이 일방적으로 취소했다고 한다. 외교적 결례이자 매우 옹졸한 처사가 아닐 수 없다. 외교부에 따르면 양국은 11∼13일 영국 G7 회의 때 약식 정상회담을 하기로 실무 차원에서 잠정 합의했다. 하지만 일본은 독도방어훈련을 이유로 끝내 약식회담에 응하지 않았다. 일본이 정식회담을 꺼려 약식회담에 합의한 것이지만 이마저도 걷어찬 것이다. 독도훈련을 회담 거부 사유로 내세웠다지만 핑계로밖에 들리지 않는다. 이 훈련은 1986년부터 연간 2차례 진행해 왔다. 35년간 해온 훈련을 이유로 이미 합의된 회담을 취소하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게 이유였다면 당초 잠정 합의도 하지 말았어야 했다. 게다..
'게스트'였지만 확실한 존재감 과시..한·일 위상 극명히 엇갈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한국이 유례없는 존재감을 과시했다. 한국은 올해 G7 의장국인 영국 정부의 '초청국'으로 참석했지만, 사실상 'G8' 을 구축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경제력·방역 등에서 한국이 G7 회원국에 버금가거나 뛰어넘는 성적을 낸 데다, '중국 견제'를 외친 G7이 한국에 거는 전략적 역할에 대한 기대가 한층 높아진 배경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일본은 예외였다. G7 개최 전부터 참여국 확대에 노골적인 불쾌감을 드러낸 일본은 행사 직후에는 강제징용 판결을 언급하며 한국을 깎아내리기 바빴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의 도쿄올림픽 강행 의지와 G7에서 확인된 ..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대한민국이 초청받아 세계 리더들과 한 자리에서 사실상 'G8'의 위상을 뽐낸 것으로 평가된다. G7 정상회의에는 한때 20개국이 초청되던 시절도 있었지만, 올해는 한국, 호주,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4개국만 초청됐다. 호주, 인도, 남아공은 모두 의장국인 영국과 긴밀한 관계의 영연방 국가들이다. 이와 달리 한국은 사실상 G8에 해당하는 경제력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K-방역, 세계를 주름잡고 있는 한류 소프트 파워를 바탕으로 당당하게 세계 리더 국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및 우르술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는 잇..
이번 G7 정상회담 제 1 보건 세션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영국 총리 우측에 착석하자,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한마디 함. 바이든 대통령 : "문재인 대통령이 오셨으니 이제 G7도 잘 될 겁니다." 존슨 총리 : "네 그렇죠. 한국은 단연 세계 최고의 방역 모범국이죠. 방역 1등이죠" 구테흐스 UN 사무총장 : "한국 대단해요." 마크롱 대통령 : "다들 생각이 같으시네요." 존슨 총리 : "한국에게서 많이 배웠습니다." 청와대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이 MBC 뉴스에 나와서 전한 내용임. https://youtu.be/RdL1ra4RHQ0
위구르 인들에게 강제 노동시키고 범죄 은닉한 혐의로 프랑스 NGO로부터 고발 당함 일본에서도 불매운동각 그러하다. 그저 왜구클로
한국과학문명사 강의 조선 건국 직후에 제작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인삼, 동의보감, 한지. 이 셋의 공통점은 조선시대 최고 수출품이자 당대 과학문명의 상징이었다는 것이다. 조선에선 17세기 후반 인삼 재배 기술을 완성했고, 인삼을 쪄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게 한 홍삼 제조 기술을 개발한 후 20세기 초반까지 동아시아 인삼 무역을 주도했다. 허준의 동의보감은 1613년 간행 후 중국에서 30차례 이상, 일본에선 적어도 3차례 이상 찍혀 나왔다. 조선의 제지 기술은 중국을 앞섰고 유리가 없던 시절엔 바람을 막아주는 문풍지로도 최적이었다. 신동원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겸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장은 신간 《한국과학문명사 강의》에서 우리 조상들의 과학 기술 수준이 어느 정도로 크게 인정받았는지 알려준다. “조선이..